아직은 맛보기 버전이라 너무 큰 기대는 금물이지만, 앞으로 많이 향상될거라 믿습니다.
벌써 Tizen SDK 사용기나 스크린샷이 돌아다니고 있습니다만 지금 미국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12 (2012 국제전자제품박람회, 1/10~1/13)에 맞춰서 오픈한 탓에 CES 기사들에 Tizen 공개 소식이 묻히는것 같네요.
Tizen
은 리눅스에 기반을 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스마트 TV, 넷북 등 다양한 장치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LIMO 재단(LInux MObile Foundation)을 주축으로 삼성과 인텔이 공동으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HTML5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오늘 공개된 것은 소스코드, Tizen SDK 와 문서, toolchain 등입니다.
[소스코드]
미들웨어, 기본적인 UI, 메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운영체제코드를 공개했습니다.
물론 아래와 같이 git 으로 코드를 직접 받아볼 수 있습니다.
$ git clone git://source.tizen.org/api/calendar.git
그런데 git 을 봐도 git history 엔 init 관련 커밋 메시지 밖에 없습니다. 이것 때문에 오픈소스가 맞다 아니다 말이 많네요.
[Tizen SDK]
Tizen SDK 입니다. 우분투 기반의 32-bit 를 지원합니다. 64-bit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SDK 를 설치했다는 사람도 있지만, 실패했다는 사람도 있군요.
그리고 Tizen 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분투 이외의 다른 중요한 배포판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물론 ubuntu chroot 을 이용해서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 Tizen SDK 를 설치했다는 사람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원해주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일단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려면 아직 더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Tizen 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분투 이외의 다른 중요한 배포판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물론 ubuntu chroot 을 이용해서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 Tizen SDK 를 설치했다는 사람도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원해주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일단 다양한 환경을 지원하려면 아직 더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SDK installer 를 받을 수 있고 이 installer 를 실행해야 SDK 를 다운받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SDK 를 설치하면 문서 및 eclipse 기반 Tizen 개발 환경, 에뮬레이터 등이 설치됩니다. 다른 많은 분들처럼 저도 에뮬레이터를 보고 아이폰으로 착각했습니다. -_-;
[문서]
문서는 SDK 를 통해서 보셔도 되고, 아래 문서 링크에서 보셔도 됩니다.
아직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보이네요.
Tizen SDK 를 설치하고 간단히 예제 프로젝트만 만들어봤는데요, Web appication 만 지원합니다. Native application 을 지원하지 않는게 개인적으로는 아쉽네요.
일단 여기 저기 동향을 살펴보니 한국에는 '바다가 있는데 왜 또 만드느냐'는 반응이 크고, 외국에서는 '기대된다. 그런데 이런 이런 점은 개선했으면 좋겠다.' 하는 반응이 크네요.
이제 막 공개되었으니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 블로그에 Tizen SDK 관련 글이 가장 먼저 올라와서 이곳의 스크린샷이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구글 번역기를 이용해서 글을 한번 읽어보세요.
그리고 Tizen OS review 동영상도 유튜브에 올라왔습니다.
말로 혹은 글로 설명하는 것 보다 한번 보여주는 것이 눈에 쏙 들어오는군요.
한동안 조용하던 #tizen IRC 채널도 이제 사람들이 북적대는군요.
뜸하던 메일링 리스트에도 메일이 오기 시작했습니다.
https://lists.tizen.org/listinfo/general
https://lists.tizen.org/listinfo/application-dev
https://lists.tizen.org/listinfo/product-dev
벌써 첫번째 패치(install-sbs 수정)가 메일링 리스트에 올라왔네요 :)
벌써 첫번째 패치(install-sbs 수정)가 메일링 리스트에 올라왔네요 :)
그리고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native application 을 지원하지는 않는 점은 아쉬운데요, 한동안 mailing
list 에서 QT 냐 EFL 이냐를 가지고 논쟁이 심했었는데, 이번 SDK 에는 둘 다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늦었으니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담기로 합니다.
이제 첫 발을 내딛었으니 아직 갈 길이 멀겠지만, 사람들의 피드백을 잘 받아서 좋은 플랫폼으로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관련 글
이 강좌는 천재태지님의 허락하에 게시합니다.
이글의 출처 : http://seoz.egloos.com/3791645
[출처 : http://cafe.naver.com/tizenclub/70]
'Academy I > Tech Ac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계층 구조 쿼리의 이해[4회] (0) | 2015.12.10 |
---|---|
[SQL]계층 구조 쿼리의 이해[3회] (0) | 2015.12.10 |
[SQL]계층 구조 쿼리의 이해[2회] (0) | 2015.12.10 |
[SQL]계층 구조 쿼리의 이해[1회] (0) | 2015.12.10 |
Unix - 웹 로그 분석, 날짜및 시간대 범위 분석(awk, uniq, egrep) (0) | 2015.10.02 |
Jar Make (0) | 2015.09.16 |
Java Makefile (0) | 2015.09.15 |
한국 각 증권사별 API 현황 (0) | 201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