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ademy I/Tech Journalism

블록체인 파헤치기 A-Z (2회) ‘비트코인 빼고, 통제 가능한’ 블록체인 주목



글로벌 금융권과 IT 기업들 그리고 핀테크 업체들이 공동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앞 다퉈 선보이는 것은 대개 ‘모두를 위한 블록체인’ 보다는 특정 그룹을 위한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의 고유의 장점이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은 가져 오지만 비즈니스에 접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재단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셈이다.

블록체인을 유형별로 보면 흔히 알려진 퍼블릭 블록체인인 외에도 최근 관심의 초점이 되는 컨소시엄(Consortium) 블록체인이 있고, 더 나아가 폐쇄형이라고 할 수 있는 프라이빗 (Private) 블록체인도 존재한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누구나 작성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과 달리 회원들에게만 작성과 열람이 허용된다. 또 누군가의 통제가 이뤄진다. 관련 규칙을 변경하는 데 있어서도 회원들간의 동의를 전제로 하면 수월하다는 점도 퍼블릭 블록체인과 구분된다. 은행들이 은행간 트랜잭션이나 공급망 트래킹 등의 용도로 주목하고 있다.

이 같은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동일한 분산형 구조를 유지하면서 제한된 참여를 통해 보다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블록체인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느린 속도 역시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데 금융권 등에서는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대표적인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이다. 인터넷에서 비유하자면 e메일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은행에서는 비트코인을 배제한 블록체인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 이유는 몇 가지를 꼽을 수 있다. 우선 비트코인은 여전히 제도권에 편입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물론 몇몇 대형 기업이나 기관이 활용에 나서기는 했지만 여전히 규제 컴플라이언스 이슈와 충돌하고 있다. 또한 비트코인의 기본 철학인 ‘누구도 제어하지 않는 것’을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곧 금융기관의 존재 이유와도 결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라이빗 혹은 컨소시엄 블록체인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다. 기술은 활용해 효율성 제고와 비용절감 등의 효과는 누리고, 제어권이나 주도권은 잃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한편 오는 1월 21일 열리는 ‘블록체인 비즈니스 컨퍼런스 2016’은 블록체인의 메카니즘에서부터 비즈니스 활용 가능성, 그리고 앞선 적용 사례 등을 한자리에서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출처 :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