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Info/Health

적합한 온도, 습도

전문가들이 말하는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는 18~20℃, 실내습도는 최소 40%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에서도 18~20℃ 범위를 적정한 실내온도로 권장하고 있다. 그런데 겨울철 우리 인체의 최적온도는 23~24℃다. 적정 실내온도와 적정 인체온도 간에 무려 3~4℃의 편차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런 편차에도 불구하고 왜 전문가들은 20℃를 적정 실내온도로 정한 것일까?

사람이 쾌적함을 느끼는 실내온도는 기후조건, 의복문화, 건물구조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똑같은 온도라도 바람이 얼마나 부느냐에 따라, 습도가 어떠한가에 따라, 옷을 어떻게 입었느냐에 따라 덜 춥게 느낄 수도, 혹은 더 춥게 느낄 수도 있다.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산업의학과 주영수 교수는 “19℃에서 내복을 입는 것과 24℃에서 내복을 입지 않고 생활하는 것은 비슷한 수준의 온열 쾌적감을 보여준다”며 “최근 겨울철 적정 실내온도로 얘기되고 있는 18~20℃ 범위의 온도는 내복 등 적절한 의복착용을 전제로 권장할 수 있는 온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즉 실내온도를 조금 낮추더라도 내복 등의 적절한 의복을 착용한다면 체온의 저하를 막으면서도 쾌적한 온도에서 생활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내 복이나 얇은 옷을 여러 겹 겹쳐있으면 4~6℃ 정도의 실내온도 조절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실내온도가 20℃일 경우 우리가 내복을 입었다면 23~24℃의 최적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오히려 20℃ 이상의 온도에 습도까지 높게 실내를 유지하면 집먼지 진드기와 곰팡이 등이 잘 자라게 돼서 알레르기 환자들에게 좋지 않다.

그러나 의복으로 체온을 올렸다 하더라도 너무 오랜 시간 실내온도를 낮춰 놓으면 저체온증이 올 수 있어 위험한 경우가 있다. 노인들은 추운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젊은 사람에 비해 저체온이 잘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우발적 저체온(Accidental Hypothermia)’이라 한다. 이는 체온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추위에 오래 노출돼 열 소실이 증가하고 열이 오르지 않아 체온을 올리는 기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한다.

만성질환자 중 만성심혈관계질환자, 만성호흡기계질환자, 만성신부전환자, 당뇨병환자들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 추워지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압이 올라가게 되는데, 기온이 1도 떨어질 때마다 혈압이 1.3mmHg 정도 올라가서 뇌출혈, 뇌졸중, 심장마비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영수 교수는 “이들에게는 실내온도 26~28℃, 습도 40~50% 정도를 유지시켜 줘야한다”며 “요즘과 같이 추울 때는 각별히 외출을 삼가고, 외출을 해야 한다면 모자, 목도리, 장갑, 두터운 양말 등 옷으로 가려지지 않는 노출되는 부위까지 따뜻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체온이 떨어질수록 우리 몸은 말과 행동이 어눌해지고 판단력이 흐려진다. 정상체온 36.5℃에서 1℃ 떨어진 35.5℃ 이하부터를 ‘저체온증’이라 하는데 이 징후는 서서히 오기 때문에 처음에는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추위에 오래 노출돼 오한이 들고, 피부가 차고 창백해지면서 멍한 기분을 느끼기 시작했다면 저체온증의 초기 증상으로 보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더 오래 추위에 노출돼 있으면 오히려 오한은 감소하면서 졸음이 온다. 심한 경우 착란이나 사망까지도 불러올 수 있다.

일단 저체온증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우선 추위나 바람을 피할 수 있는 곳으로 간다. 또 달콤한 맛을 내는 따뜻한 음료나 사탕과 같은 음식을 먹으면 체온을 빨리 올리는데 도움이 된다. 단 의식이 없거나 혼미할 때는 음식이나 물은 금해야 한다. 몸을 움직여 열 생산을 촉진시켜야 한다.

춥다고 음주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알코올은 체온을 더 빨리 떨어뜨리기 때문에 체온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환자가 정신이 혼미한 경우나 의식을 잃은 경우, 4시간이 지나도 정상체온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에는 119나 응급구조서비스에 바로 연락을 해야 한다.

특히 저체온증 환자가 어린이거나 노인인 경우에는 증상의 심각성과 상관없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저체온이 확인되면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입원하여 집중적인 치료를 받는다.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4&docId=135988563&sp=1&sort=0&sid=q%2B02Zuhp882SCBScQONC5w%3D%3D&rank=1&pid=SG3LqloRR18sstc42KRsssssstN-150920&search_sort=0&qb=7Jio64+EIOyKteuPhA%3D%3D&section=kin&spq=0&enc=utf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