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ademy III/Thinking

애자일 이야기

양도 중요하지만 문제는 질

얼마전 유재명님(이분도 같은 사안에 대해 글을 쓰셨네요 “머리 나쁘면 공부해도 소용이 없을까?“)과 함께 진행한 일련의 “근거 기반 훈련” 공개 교육과 트리움에서 진행한 기업 대상 교육에서 이런 연구들을 정리해 발표한 바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주별로 이런 연구 결과를 교사와 부모, 학생을 위해 정리해 배포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교육 심리학자들은 책 반복해 읽기나 밑줄 긋기, 요약하기 등을 그다지 권하지 않습니다. 좋은 수련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같은 시간이면 다른 걸 하는 게 훨씬 효과가 높다는 얘기(사실 시간을 안늘리고 이런 것들만 적용해도 학습 효과가 훨씬 높아진다)입니다.


참고로 AC2 과 정에서도 이런 근거 기반 학습을 중요하게 여기고 그에 기반해 과정이 설계되어 있으며, 그 기법들을 훈련하게 해드리고 있는데, 3개월 개인 코칭을 근 2백명에 가까운 분들 대상으로 진행하면서 놀란 것은 오래 해도 실력이 향상되지 않는 분들은 대부분 비효과적인(때로는 마이너스의) 학습 습관을 갖고 있더라는 점이었습니다.


결국 연습의 질이 양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말이겠죠. 문두에 인용한 워즈니악의 말도 그런 맥락입니다. 워즈니악이 독서백편의자현하지 않고 저런 특수훈련(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을 했다는 것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이런 논의를 떠나서, 일반적으로 실력이 재능에 의해 정해진다, 타고난다고 믿을수록(고정 사고관) 손해를 본다는 연구가 많이 있습니다(관련해서는 “나는 왜 학습을 이야기하는가“를 참고하세요). 대신 실력은 내가 노력하기 나름이다라고 믿는(성장 사고관) 사람일수록 더 성장하게 됩니다.


문제는 앞서와 같은 뉴스를 보게 되면 고정 사고관 쪽으로 프라이밍(priming)되어서 노력을 덜 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참고로 이쪽의 전문가인 캐롤 드웩 교수는 성장 사고관 쪽으로 프라이밍할 경우(예컨대 선배로부터 “난 예전에 공부 못했는데 노력했더니 잘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 실제로 성적이 유의미하게 오르게 되더라는 연구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래서 정말 재능이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는 몰라도 밑져야 본전이니 내 믿음은 어느 쪽을 향하는 것이 좋을까 자문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게다가 앞에서도 잠깐 나왔지만 여러가지 변수 중에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타고난 재능은 (만약 고정되어 있다고 믿는다면) 우리가 바꿀 수 있는 변수가 아닙니다. 그러면 우리 개인이 할 수 있는 선택은 무엇일까요? 여러분은 자신을 어떤 사람으로 생각하며 살고 싶으십니까?


- 김창준 -


[출처 : http://ppss.kr/archives/31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