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 충전 상태에 대해 여간 신경 쓰이는 것이 아니다.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들의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다고는 하지만 게임, 동영상, 각종 앱들을 사용하다 보면 금새 빨간불이 들어온다. 이러한 스마트폰 충전을 좀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바로 스마트폰 충전시 100% 완료 초록불이 들어와도 더 꽂아두는 것이 그 중 하나다.
■스마트폰 충전...틈 날 때마다 충전해라
스마트폰(휴대폰)은 100% 충전됐다는 초록색 불이 표시돼도 계속 꽂아두면 더 충전이 된다. 충전율은 전압을 측정해 표시해 주는 것인데, 배터리 내에 무수히 많은 리튬이온이 있기 때문에 이를 전부 연결해서 확인할 수 없다. 즉 초록불이 들어와도 배터리 내부까지 완전하게 충정된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계속 꽂아두는 것이 좋다. 완전하게 충전되기 까지는 적어도 2시간 이상 꽂아두어야 한다.
▲ 스마트폰 100% 충전 초록불이 들어와도 2시간 이상 충전해야 완전 충전이 된다.
또 한가지 배터리 활용 팁이 있다. 스마트폰 배터리를 완전히 방전한 다음에 충전해야 수명이 오래간다는 속설은 잘못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차전지는 수시로 충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 방전한 다음에 사용하면 수명이 짧아지고, 하한 전압 이하로 유지되면 전지 구성재료가 부색돼 제 기능을 못한다. 그래서 늘 충전기에 꽂아두고 사용하고 방전된 상태라면 즉시 충전하는 것이 좋다.
충전할 시간이 얼마 없을 경우 스마트폰을 빨리 충전하는 방법도 있다. 매우 간단한 방법인데 따뜻한 곳에서 스마트폰을 충전하면 더 빨리 충전이 된다. 예를 들어 전기장판 위에 두고 충전하면 된다. 이는 온도를 높이면 리튬이차전지의 화학반응 속도가 빨라지고 내부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온도 10도가 올라가면 반응속도가 약 두배, 20도는 4배, 30도는 8배로 빨라진다.
▲ 충전시간은 없는데 급하다면...뜨거운 전기장판 위에 두고 급속충전해라.
■스마트폰, 노트북 코드 꽂아둔 채 사용하면 수명 줄어드나?
여기서 또 한가지, 코드를 꽂아둔 채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단말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배터리 수명이 줄어드는 지에 대한 궁금증도 해결해 보자. 결과는 수명과 무관하나든 것이다.
노트북에 전원을 꽂는다는 것은 외부에서 전기량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이 전기량이 100이라면 사용하면서 충전할 경우 70은 충전기로 가고, 나머지30은 노트북을 작동하는데 쓰인다. 따라서 충전 속도가 느려질 뿐이지 배터리 자체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또한 코드를 꽂는다는 것은 외부 파워를 이용해 노트북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터리는 놀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배터리에게 휴식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더 좋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노트북뿐만 아니라 리튬이온전지를 사용하는 기기(스마트폰, 디지털카메라 등) 모두 이러한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코드를 꽂으면서 사용해도 배터리 수명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은 코드를 꽂아둔 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배터리 수명과는 무관하다.
이러한 배터리 사용에 대한 궁금증은 미래창조과학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전기전문 출연연구기관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발간한 ‘올바른 배터리 이용을 위한 KERI 배터리 가이드북’에서 확인할 수 있다.
KERI는 배터리의 올바른 사용에 관련한 네티즌들과 고객들의 문의가 많다는 점에 착안, 지난해부터 ‘올바른 배터리 이용 연중 캠페인’을 진행한 바 있다. 이어 이번에 국민들이 평소 궁금해할만한 내용을 답변으로 정리해 이번에 배터리 가이드북으로 엮어냈다.
KERI 배터리 가이드북은 전국 주요도서관 및 언론사 등에 제공될 예정이며, KERI 홈페이지에서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출처 : http://news.devmento.co.kr/news/messageDetail.do?messageId=104409&listReturnURL=]
'News & Info >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구정]문화행사 (0) | 2015.02.16 |
---|---|
[2015년 구정]국립중앙박물관 (0) | 2015.02.16 |
결혼식 축의금 봉투 [祝 結 婚, 祝 華 婚] (0) | 2015.02.06 |
2015 설명절 서울장터 정보 (0) | 2015.02.04 |
2015년 공휴일 (0) | 2015.01.05 |
2015년 서울 해돋이 명당 (0) | 2014.12.31 |
식품업계 '할랄' 열풍 (1) | 2014.12.30 |
박노해 페루 사진展 (0) | 201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