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싱가포르의 물 산업 육성 계획
ㅇ 싱가포르는 대표적인 물 부족 국가로 자체적으로 강이나 호수 등 수자원이 부족하며, 토지 면적이 좁고, 지층의 특징 상 충분한 양의 물을 보유하기에 불리한 구조임에 따라 물 보유를 최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ㅇ 현재 싱가포르 물 공급은 크게 4가지로 이루어짐
- 국내 저수
- 말레이시아 조호르에서 수입
- 재생 정화수 (NEWater)
- 탈염 정화수
ㅇ 싱가포르 정부, 국내 저수, 재생 정화수 및 탈염 정화수 사업 집중 육성
- 현재 싱가포르의 대 말레이시아 물 수입의존도는 40%이며, 말레이시아로 부터 물 수입은 1962년에 맺은 양국 협정서에 의거한 것으로 이 협정서는 100년 간, 즉 2061년까지 유효함
- 싱가포르는 2061년 이후의 물 공급에 대해 말레이시아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뚜렷한 성과가 없자, 향후 물 수입을 지양하고 자체 공급 계획을 수립
- 2006년 리센룽 국무총리는 환경 및 물 기술을 싱가포르 미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선정하며 물 산업 개발을 촉진함
□ 싱가포르 물 공급 현황
ㅇ 국내 저수
- 싱가포르는 2010년 17개의 처리 저수조를 보유하고 있음. 2006년 이후 3개를 추가한 것으로 신규 3 저수조는 기존에 비해 저수량을 50% 끌어올림
ㅇ 물 수입
- 식수의 40% 이상이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되고 있음. 그러나 국내 저수량 증가로 식수 국내 공급량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음
ㅇ 재생 정화수(NEWater) 및 탈염 정화수
- 국토의 한계로 국내 저수량 증가 노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싱가포르 물 산업 개발의 핵심은 재생 정화수 및 탈염 정화수 임
- 2011년 까지 상기 두 산업의 싱가포르 물 공급량을 50%, 2061년 까지 80% 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
자료원 : PUB, http://www.pub.gov.sg/about/historyfuture/Pages/WaterSupply.aspx
- NEWater는 고도의 재생 정화수로 현재는 대부분 공업용으로 사용 중. 7년 간 5개의 NEWater 공장을 설립해 물 공급량의 30%를 달성
- 탈염 정화수 공장은 2005년 처음 설립됐고(SingSpring) 2013년 또 한 곳(?Spring) 이 설립예정
□ 싱가포르 물 수요량 예측
ㅇ 빠른 인구 증가
- 싱가포르는 2010년 508만의 인구를 기록했으며, 정부는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해 2050년 까지 650만 인구 육성 계획을 수립, 인구 증가에 따라 물 소비량도 증가함
ㅇ 현재 물 공급량과 미래 물 수요량의 차이
- 싱가포르 PUB(수도 전기 가스 통합 관리 기관)에 따르면 2061년 물 수요량은 인구 증가 및 산업 발전으로 2010년의 2배가 될 것이라 예측
향후 50년 싱가포르 물 수요량
|
2010년 물 수요량 |
2061년 물 수요 예측량 |
차이 (추정치) |
연간 물 수요량 |
597 |
1,200 |
603 |
물 수입 |
195 |
0 |
-195 |
국내저수 |
256 |
240 |
-16 |
재생 정화수(NEWater) |
96 |
600 |
504 |
탈염 정화수 |
50 |
360 |
310 |
자료원 : PUB, http://www.pub.gov.sg/LongTermWaterPlans/gwtf.html
- 물 수입을 지양하기 위해 재생 정화수 및 탈염 정화수의 생산량을 향후 50년간 약 7~8배 증가시켜야 함
□ 싱가포르 물 산업 개발
ㅇ 지난 5년 간 물 산업 빠른 성장세 기록 (2006년~2010년)
- 2006년 싱가포르 연구지원 기관은 싱가포르 경제 발전을 위한 핵심 R&D분야로 생명공학, 환경, 물 분야를 선정해 집중 투자 및 지원했음. 환경 및 물 분야 R&D 예산으로 3억 3천만 싱가포르 달러가 책정됨
ㅇ 국내 R&D 및 해외 수출 전략
- 싱가포르 내 물 생산량 증가 목표와 더불어, 해외 시장에 최신 물 솔루션 기술 수출을 목표로 함
- 2006년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한 예로 싱가포르 기반 기업이 84억 싱가포르 달러의 계약을 수주함
ㅇ 싱가포르 미래 물 산업 개발을 위한 핵심요소
- 재생 정화수(NEWater) 및 탈염 정화수가 핵심 분야이나 아직 생산비용이 높음. R&D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물 처리 기술 개발 노력이 필요
- 고도의 물 솔루션 기술은 싱가포르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해외시장에 대한 큰 잠재력을 지님
□ 싱가포르 물 산업 투자 기회
ㅇ 싱가포르 물 산업 R&D 최근 연구분야
- 화학제품 사용감소
- 에너지 소비량 감소
- 폐기물 최소화
- 물의 질 및 안전도 높이기
ㅇ 싱가포르 물 산업의 주요 정부기관
- PUB (Public Utilities Board)는 국가 물 관장 기관으로 물 생산, 소비자 관리, 재생 및 정화 등 총체적인 책임을 맡고 있음. 물 산업과 관련한 R&D지원을 하고 있으며 또한 협업 R&D, 시험설비 지원, 외부투자연결 파트너십 등의 서비스 제공함
- 환경 및 물 산업 프로그램 오피스(EWI)는 2006년 3억 3천만 싱가포르 달러가 환경 및 물 산업 R&D에 투자 결정이 됨에 따라 설림된 기관임. 행정적으로 PUB 산하이나, PUB, EDB(경제개발청), IES(국제기업지원청)의 핵심 환경 및 물 산업 분야를 관장함
ㅇ 싱가포르 물 산업 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책활용을 통한 진출기회 모색
- 물 산업 관련 대부분의 정부 지원책은 EWI 및 EDB에서 관할하며, 기업특성에 적합한 정부지원책 활용을 통해 진출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음
제도 |
주요 지원 항목 |
지원 대상 |
Fast-Track Environment and Water Technologies Incubator Scheme
|
- 회사 당 SGD 500,000 또는 85% 지원수준 중 낮은 항목으로 2년 간 지원 - 승인 된 R&D 비용과 맨파워, 교육, 전문서비스나 설비를 위한 대부금에 사용 가능 |
- 신규 설립자 - 3년 이하의 싱가포르 기반 회사 |
Incentive for Research and Innovation Scheme
|
- 공공 분야연구를 위해 승인된 비용 100% 지원 - 사적 연구를 위해 승인이 된 경우 70% 지원 |
-싱가포르 기반 연구기관과 사기업 - 물 산업 또는 재생 물산업 R&D 및 기술개발 |
Innovation Development Scheme |
- 승인된 항목에 지원제공 : a. 인건비 50% 지원 b. 설비 및 자재 30% 지원 c. 국내 전문서비스의 50% / 국외 전문서비스의 30% 지원 d. 지적재산권 30% 지원 |
- 싱가포르 기반 신생 회사
|
Technology Pioneer Scheme |
- 1천만 싱가포르 달러 또는 승인된 비용의 70% 중 낮은 금액 지원 - 승인된 인건비, 설비, 자재비, 소프트웨어, 전문서비스 비용 |
- 새로운 환경 및 물 기술 도입을 원하는 싱가포르 기반 회사와 조직 - 기술 제공자 및 도입자가 함께 지원해야 함 |
Innovation for Environment Sustainability |
- 최장 3년 동안 2백만 싱가포르 달러까지 지원 |
- 싱가포르 등록기업 - 진보적인 수자원 사업, 물 보유, 폐수 관리 및 재생 사업 - 환경 지속성 관련 사업 |
'News & Info > Tr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gapore Restaurant Week (0) | 2013.07.23 |
---|---|
싱가포르 - 일정짜기 및 호텔, 식당예약 등 (0) | 2013.07.23 |
얌차레스토랑 딤섬뷔페 (0) | 2013.07.18 |
저가항공 '푸껫라인' 딜레마 (0) | 2013.07.17 |
싱가포르의 수리산업의 동향과 부산항 개발의 필요성 (0) | 2013.07.16 |
동남아 금융허브, 싱가포르를 가다 (0) | 2013.07.16 |
'물류선진국' 싱가폴의 물류산업의 경쟁력에 대해서 (0) | 2013.07.16 |
싱가포르 MICE 산업 (0) | 201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