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eb.centanet.com/findproperty/detail/detail.aspx?posttype=S&id=A6F67933-EE34-46C8-9547-1E11E424E691
http://www.28hse.com/utf8/buyhouselisting.php
홍콩 정부가 집값 거품을 막기 위해 부동산 거래세를 대폭 인상하고 나섰다.
홍콩 정부는 19일 부동산 거래세율을 종전 3.75~4.25%에서 보유기간에 따라 최대 15%포인트 조정해 18.75~19.25%로 크게 높이는 내용의 부동산가격 안정대책을 발표했다고 21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현지언론이 소개했다.
20일부터 적용된 새로운 부동산가격 안정 대책은 부동산 보유기간에 따라 △6개월 이내 15% △7개월 이상 12개월 이내 10% △13개월 이상 5%의 부동산 거래세를 각각 추가 부과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을 거래할 때 매수자와 매도자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할 부동산 거래세율은 보유기간별로 △6개월 이내 18.75~19.25% △7개월 이상 12개월 이내 13.75~14.25% △13개월 이상 8.75~9.25%로 조정된다.
종전의 부동산 거래세율은 부동산 거래액이 2000만홍콩달러(약 29억원) 이상이면 4.25%, 2000만홍콩달러 미만이면 3.75%였다. 이와 함께 홍콩 정부는 주택을 매입할 때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을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상한액을 △1200만홍콩달러 이상 주택은 주택가격의 60%에서 50%로 △800만홍콩달러 이상 1200만 홍콩달러 미만 주택은 주택가격의 70%에서 60%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이 같은 홍콩 정부의 고강도 주택가격 안정 대책은 국제통화기금(IMF)이 홍콩 집값의 버블 가능성을 경고한 직후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IMF는 지난 1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홍콩 부동산시장의 과열이 지속되면 버블이 폭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부동산 거래세 인상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홍콩 정부에 따르면 홍콩 주택 가격은 올해 들어 9월까지 평균 15% 급등했다. 현지 부동산 중개회사인 센터 라인부동산도 홍콩의 주택가격이 올 들어 평균 16.94% 상승했으며, 지난 2009년 이후 평균 52.23% 급등했다고 소개했다. 홍콩 정부는 지난해부터 집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지난 2월 2000만 홍콩달러 이상의 고가 주택에 대해 거래세를 기존의 3.75%에서 4.25%로 인상했으나 집값 상승세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경제부총리 격인 존 창 재정사장은 "홍콩 주택가격의 이례적인 폭등은 투기꾼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2차 유동성 공급 확대 조치로 홍콩 자산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홍콩, 부동산 가격 거품에 선전포고..거래세 부과
“시장에 충격이 꽤 컸어요. 홍콩에는 부동산 세금이라는 개념이 없었거든요”
홍콩에 거주하는 제니퍼 리(Jennifer Lee) 씨는 19일(현지시각) 홍콩 당국이 발표한 부동산 가격 억제 조치로 홍콩 현지에서 반향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홍콩 부동산의 버블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홍콩 정부가 부동산 거래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존 탕(John Tsang) 홍콩 재무장관은 19일 "홍콩 당국은 부동산 가격 폭등에 대응하기 위해, 부동산을 취득한지 2년 이내에 다시 부동산을 되파는 경우 거래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거래세는 20일(현지시각)부터 적용된다.
홍콩 당국의 이러한 조치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16일 홍콩의 부동산 시장 과열을 경고하고 나온 조치다.
IMF는 보고서에서 “홍콩 부동산 가격이 18개월째 상승하고 있어, 부동산 시장 과열로 거품이 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홍콩금융관리국(HKMA) 노먼 챈(Norman Chan) 총재는 "구매 한지 6~12개월 안에 다시 매매하는 부동산에 대해서는 10%의 거래세를, 취득 후 12~24개월 된 부동산 거래에 대해서는 5%의 거래세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홍콩은 부동산 거래세 부과와 함께 주택 담보 대출을 더 엄격하게 적용해 부동산 가격 폭등에 대응하기로 했다.
챈 총재는 "미국 연준의 양적 완화 정책으로 풀린 자금이 홍콩으로 유입되며 홍콩 자산 거품 가능성이 더 커졌다"고 분석했다.
홍콩의 부동산 가격 폭등이 더 우려되는 부분은 홍콩달러가 현재 달러화에 페그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달러화에 홍콩달러의 교환가치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최근 달러 약세가 이어지자 인플레이션이 촉발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는 것이다.
다만 홍콩 당국의 이번 조치가 부동산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스코틀랜드 왕립은행의 데이비드(David Ng) 홍콩 자산 애널리스트는 “홍콩 당국의 강력한 투기 제한 조치에 부동산 투기 심리가 위축될 것”이라면서도 “저금리 상황에서 발생하는 투기를 한 번에 잡기 어렵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은 즉시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콩, 세금으로 집값 잡기
중국과 홍콩이 치솟는 물가와 집값을 잡기 위해 고강도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금융위기 때 대거 풀린 돈이 물가와 자산가격을 밀어 올리고 있는 데다, 미국의 2차 양적 완화로 해외 투기자금까지 몰려들 기미를 보이자 단속에 나선 것이다.
◆홍콩, 부동산세 인상=“이번에 안 사면 기회가 없습니다. 또 오릅니다.” 요즘 평일 퇴근 시간대만 되면 홍콩의 신개발 지역인 청콴오(將軍澳)의 티우겡렝(調景嶺)지하철 역 앞은 부동산 중개업체 직원들로 발 디딜 틈이 없다. 홍콩의 민영 아파트 값이 급등하면서 조바심 난 구매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중개업체 간 경쟁이 불붙었다. 홍콩의 유력 중개회사인 ‘센터라인부동산(中原地産)’에 따르면 지난해 초부터 올 10월까지 홍콩 민영 아파트의 가격은 평균 52% 치솟았다.
이렇게 천정부지로 오르는 집값을 잡기 위해 정부가 칼을 뽑았다. 홍콩정부는 19일 부동산 거래세율을 보유 기간에 따라 최대 15%포인트를 더 부과하는 부동산 가격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20일부터 부동산을 사고팔 때 보유 기간에 따라 ▶6개월 이내 15%포인트 ▶7~12개월 10%포인트 ▶13개월 이상 5%포인트의 거래세를 추가로 내야 한다. 지금까지 부동산 거래세율은 거래액이 2000만 홍콩달러(29억원) 이상일 경우 4.25%, 그 미만이면 3.75%를 적용받았다.
이와 함께 800만 홍콩달러 이상의 집을 살 경우 집값에서 차지하는 부동산 담보대출 비중의 상한선도 10% 낮췄다. 존 창(曾俊華) 재정사장(경제부총리 격)은 “홍콩 주택 가격이 폭등해 투기꾼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2차 양적 완화 조치로 홍콩 자산시장이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물가 대책 쏟아내=중국은 물가와의 전면전에 나섰다. 국무원 판공청은 농산물 생산 확대와 유통 원가 인하 등 ‘소비가격 안정과 국민기본생활 보장’을 위한 16개 긴급대책을 마련, 31곳의 성(省)정부 등에 이를 시행토록 지시했다고 21일 중국신문사가 보도했다. 물가 급등세에 19일 인민은행이 올 들어 다섯 번째로 지급준비율을 인상하며 돈줄 죄기에 나선 데 이은 것이다.
‘완력’도 동원할 태세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소비자 물가 상승 폭이 큰 지역에 직원을 파견해 물가상승의 원인을 조사하고 불법 행위에 대한 감독을 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런 조치만으론 한계가 있는 만큼 연내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홍콩 미즈호증권의 센 장구안 연구원은 블룸버그통신에 “다음 조치로 금리를 손대는 게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출처 : http://blog.naver.com/mclhkg]
'News & Info > Tr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콩의 주택 (0) | 2013.06.04 |
---|---|
홍콩 정부 2012 예산안 (0) | 2013.06.04 |
홍콩에서 중국인 (0) | 2013.06.04 |
홍콩 로하스 파크 (0) | 2013.06.04 |
홍콩의 노인복지 동향 (0) | 2013.06.04 |
홍콩/Hong Kong(香港) (0) | 2013.05.30 |
홍콩의 도시재생정책과 도시재생기구(URA)의 역할 (0) | 2013.05.30 |
3박5일 간의 홍콩-마카오 여행 (0) | 2013.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