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기업들에게 있어 제조원가(혹은 매출원가) 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 원가 절감은 프로세스 혁신의 목적 중 “싸게”에 해당하는 중요한 활동이며 프로세스 혁신의 결과 원가가 낮아진다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원가절감이 프로세스 혁신의 가장 중요하거나 유일한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프로세스 혁신이 올바르게 수행된 결과로서 자연스럽게 원가가 낮아지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원가”라는 용어를 광의로 해석하면 모든 비용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제조원가 또는 상품원가(매출원가)를 뜻하는 협의의 의미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물론 프로세스 혁신에는 원가를 낮추기 위한 많은 활동들이 포함된다. 하지만 그러한 활동들 각각을 독립된 활동들로 간주하여 각개약진 하듯이 추진해서는 안 된다.
하나의 원가 절감 활동은 반드시 다른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싸게”는 원가 절감만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며 고객에게 “좋은” 가치를 제공하는 데 소요되는 모든 비용, 다시 말해 총비용(Total Cost)를 감안해야만 한다.
제조원가 또는 상품원가 중심으로 경영 해 나가는 관점을 벗어나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 즉 Total Cost를 고려하는 관점으로 전환하도록 해 주는 기법으로 “활동 기준 원가(ABC : Activity Based Cost) 계산”이 많이 활용된다. ABC는 상당히 전문화된 관리회계 기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기업의 재화와 용역을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프로세스 상의 모든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총비용을 원가로 간주하여 관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제조원가를 낮추기 위해 포장비를 줄이면 당연히 포장 품질이 저하된다. 그렇게 되면 정상품으로 판정되어 출고 되었던 제품이 운송 과정에서 하자가 생겨 고객 불만으로 이어지고 클레임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고객의 소규모 주문을 여러 번 실어 나르지 않고 하나의 차량에 합쳐서 한꺼번에 배송하게 되면 운송비는 절감될 수 있지만 제품 출고 대기 시간이 길어져 재고 부담이 늘어나고 납기가 지연되어 고객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
재고 보유 수준을 낮추게 되면 창고비용 부담을 낮추고 재고에 자금이 묶여 발생하는 재무이자 기회비용을 줄일 수 있지만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제품을 공급할 수 없어 고객을 잃을 수 있다.
이렇게 조직에서 발생하는 원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비용과 상호 관련되어 있어 다른 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리고 그러한 비용들은 판매비, 일반관리비, 영업외비용 등 측정 가능한 비용들뿐만 아니라 기회비용처럼 눈에 보이지 않고 측정하기 어려운 비용도 포함된다.
또한 하나의 비용 절감이 다른 비용의 증가를 야기하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아 각 비용항목을 담당부서들이 각자 절감해 들어가는 노력으로는 오히려 혼란과 갈등을 야기할 뿐이며 “싸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사람에게 “얼짱”과 “몸짱”이 있듯이 조직도 똑 같은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기업의 손익계산서에서 매출액에서 매출이익에 이르는 부분은 마치 얼굴과 같다. 매출액이 많고 매출이익률이 높은 기업은 뭔가 있어 보인다.
하지만 매출이익 아래로부터 영업이익, 혹은 경상이익에 이르는 손익계산서의 아래쪽에서 표시된 몸통 부분에서 어떤 일의 결과인지 잘 알지 못하거나 위쪽보다 더 많은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제조원가 또는 상품원가 절감에 집착하고 매출이익 증대를 최상의 가치로 삼는 기업은 남들이 보기에 좋은 “얼짱”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얼굴만 잘 생기고 몸이 부실하여 병들어 있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Total Cost를 최적화하는 노력은 조직을 건강하고 균형 갖춘 “몸짱”으로 만들어 준다.
물론 “얼짱”이면서 “몸짱”도 될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둘 사이에 Trade-off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 쉽지 않은 일이다.
조직은 무엇보다도 생존이 중요하며 병든 “얼짱”은 위험할 수 있지만 “몸짱”은 조금 못생겨도 얼마든지 생존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착한훈장]
'Academy II > TO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 시스템 활동의 3차원적 원리 - 조직 시스템을 구성하는 3개 축 (0) | 2013.05.15 |
---|---|
상사의 방향이 아니라 고객의 방향으로 바라보며 일하라 (0) | 2013.05.15 |
횡(橫)의 방향으로 사고하고 일하라 (0) | 2013.05.15 |
원가절감을 프로세스 혁신의 최우선 목표로 하는 기업들의 오류 (2) (0) | 2013.05.15 |
원가절감을 프로세스 혁신의 최우선 목표로 하는 기업들의 오류 (1) (0) | 2013.05.15 |
프로세스 혁신(PI : Process Innovation)의 목적 (0) | 2013.05.15 |
프로세스의 의미와 본질 (0) | 2013.05.15 |
LEAN(JIT)과 TOC(제약이론) 비교 (0) | 2013.05.15 |